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과 문명의 허망함을 마주하다: 파리대왕, 윌리엄 골딩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과 문명의 허망함을 마주하다: 파리대왕, 윌리엄 골딩


고등학교 시절, 처음 '파리대왕'을 접했을 때, 저는 섬뜩함과 동시에 깊은
슬픔을 느꼈습니다. 윌리엄 골딩은 이 소설을 통해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섬세하게 드러내며 문명의 허망함을 냉정하게 비판합니다. 낙원과도 같은 섬에
불시착한 영국 학생들은 문명의 틀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인간 본성의 잔혹함과 광기에 휩싸이게 됩니다.

랄프를 중심으로 한 '합리적인' 집단과 잭을 중심으로 한 '원초적인' 집단의
갈등은 인간 내면의 이성과 본능, 문명과 야만의 끊임없는 싸움을 보여줍니다.
랄프는 질서와 이성을 중시하며, 문명 사회의 가치를 유지하려 합니다. 그는
불을 피우고 구조 신호를 보내며, 다른 아이들을 이끌어 공동체를 유지하려
노력합니다. 반면 잭은 원초적인 본능에 끌려 사냥과 폭력에 집착하며, 급기야는
랄프를 쫓아내고 자신만의 야만적인 폭력 체제를 구축합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섬은 점점 혼돈에 휩싸입니다. 아이들은 폭력적인 행동에
익숙해지고, 문명의 가치는 잊혀져 갑니다. 섬은 낙원에서 지옥으로 변모하며,
인간의 본성은 문명의 껍질을 벗고 본색을 드러냅니다.

'파리대왕'은 단순한 청소년 소설이 아닙니다. 이 소설은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성찰과 함께, 문명의 허망함을 날카롭게 비판합니다. 섬은 인간 사회의
축소판이며, 아이들은 인간 본성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거울입니다. 랄프와 잭의
갈등은 우리 내면의 이성과 본능, 문명과 야만의 끊임없는 싸움을 반영합니다.

특히 저는 소설 속 '파리대왕'이라는 존재에 주목했습니다. 파리대왕은 돼지
머리에 파리들이 꼬이는 모습을 통해 인간의 잔혹성과 야만성을 상징합니다.
아이들은 파리대왕을 숭배하며, 폭력과 잔혹함에 빠져듭니다. 이는 인간이
문명의 틀에서 벗어나면 얼마나 쉽게 야만성에 굴복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파리대왕'은 저에게 많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과연 인간은 문명 없이 살아갈 수
있을까요? 문명은 인간의 본성을 통제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끊임없이 우리
내면의 야만성과 싸워야 하는 것일까요?

이 소설은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직시하고, 문명의 허망함을 깨닫게 합니다. 하지만 동시에 인간이 스스로를
통제하고, 문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파리대왕'은 저에게 인생의 깊은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인간의 본성은 복잡하고 모순적입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우리 내면의 야만성과
싸우고, 문명의 가치를 지켜나가야 합니다. 이 소설은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성찰과 함께,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시지프 신화》 - 알베르 카뮈 : 부조리 속에서 발견하는 삶의 의미

거인들의 어깨 위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걸리버 여행기가 선물한 통찰

베니스의 상인: 탐욕과 자비, 그리고 인간 본성의 어두운 그림자